로잔 운동의 역사적 배경 요약

 

로잔 운동의 역사적 배경

  • 서구의 세계복음화 운동: 비서구권 바통을 이어받아 현대 선교운동의 발상은 에딘버러 세계선교대회에서 시작되었다.
    • 1910년: 기념비적인 이유로 선교역사의 천하통일 방략이 제시되었다.
    • 존 모트: 1921년 미국 뉴욕주 모홍크 호수에서 **국제선교협의회(IMC)**를 창설하였다.
      • 그는 학생자원운동의 지도자로서 세계기독학생연맹을 조직하였다.
      • 록펠러의 후원을 받았다.
  • 19세기 선교의 위대한 세기: 이들은 세계복음화의 비전을 가지고 금세기에 다 이루어질 것이라는 목표를 세웠다.
  • 한국 선교: 존 모트는 한국을 방문하여 조선예수교선교공의회를 결성하고 IMC에 가입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 기독학생운동의 성장: 이 운동은 세계선교운동에 기여하였고, 20세기 에큐메니칼운동의 기초가 되었다.

IMC와 세계복음화 운동

  • IMC의 중심축: 1921년 결성된 IMC는 세계복음화 운동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았다.
    • 예루살렘 대회(1928): IMC의 발전을 이끈 중요한 사건이다.
    • 마드라스 대회(1938)휘트비 대회(1947)빌링겐 대회(1952): IMC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대회들이다.
  • WCC와의 합류: 1948년 창설된 **세계교회협의회(WCC)**에 IMC가 합류하였다.
    • 레슬리 뉴비긴: 1961년 WCC의 부총무가 되었다.
    • IMC의 일부 세력이 WCC 내의 복음선교와 전도위원회(CWME)로 합동하였다.
  • 한국의 반대 의견: WCC 뉴델리 총회에서 김활란 박사는 개인 전도를 하지 않는 WCC 합동을 반대하였다.
  • 사회적 책임 강조: WCC는 초교파적인 기독교의 확장정책으로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였다.

로잔 운동의 시작과 발전

  • 1974년 로잔 운동의 시작: IMC가 본연의 세계선교운동의 사명을 저버린 것에 반발하여 스위스 로잔에 모였다.
    • 로잔 운동의 공식명칭Lausanne International Congress on the World Evangelization.
    • 세계복음화를 위한 국제선교대회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 사회 변화의 배경: 2차 대전 이후 격변하는 사회 변화 속에서 민주화, 인권, 여성주의 투쟁이 본격화되었다.
  • WCC의 방향 전환: WCC는 사회변혁과 인간해방투쟁으로 방향을 전환하였다.
  • 로잔 운동의 주요 인물들: 존 스토트 박사, 빌리 그래함, 레이튼 포드 박사, 르네 빠디야 등이 참여하였다.

로잔 운동의 주요 인물들

  • 존 스토트 박사: 영국 성공회의 주요 인물로, 로잔 운동의 기초를 다졌다.
  • 빌리 그래함: 미국의 저명한 부흥사로, 로잔 운동의 확산에 기여하였다.
  • 레이튼 포드 박사: 인디아 선교에서 신학과 정책의 뼈대를 세운 인물이다.
  • 르네 빠디야: 남미 해방신학의 자리에서 복음주의 노선으로 확대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서울-인천 대회의 의미

  • 서울선언문: 대회 첫째 날에 발표되었으나 실무자의 실수로 철회되었다가 이틀 후 다시 발표되었다.
    • 서울선언문의 중요성: 로잔 운동의 핵심 메시지를 담고 있다.
  • 참가자 구성: 다양한 국가에서 온 5,000명의 참가자들이 모였다.
  • 복음화의 열망: 참가자들은 세계복음화를 이루기 위한 열망을 가지고 모였다.
  • 대회의 목표: 복음주의자들만이 집결하여 세계복음화의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었다.

동성애 이슈와 로잔 선언문

  • 서울선언문 내용: 동성애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하였다.
    • 동성간 성관계: 죄악으로 명시되었다.
    • 성별 정체성: 생물학적 성과 성별은 구별되지만 분리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목회적 돌봄: 동성애자에 대한 목회적 돌봄을 강조하였다.
  • 교회 내 차별 문제: 기독교 공동체 내에서 동성애적 매력을 경험하는 신자들이 차별받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 회개와 지원: 기독교 지도자들과 지역 교회들이 동성애자 신자들을 지원할 것을 촉구하였다.

현대 선교의 과제와 방향

  • 선교의 대위임 문서: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책임을 구체적으로 다룬 문서이다.
  • 다중심적 전략: 현대 선교의 과제로 다중심적 전략을 탐색하고 있다.
  • 기후 정의 문제: 기후 위기와 관련된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
  • 지속 가능한 선교 전략: 지속 가능한 선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교회의 선교적 역할

  • 한국의 글로벌 경제 상황: 한국은 세계 6위의 경제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 선교사 파송: 한국교회는 2만 명 이상의 장기체류 선교사를 보유하고 있다.
  • 영성의 회복: 예수동행운동과 중보기도단 운영으로 대회의 영성을 끌어올리고 있다.
  • 로잔 운동의 최대 수혜자: 한국교회는 로잔 운동의 최대 수혜자로 자리 잡고 있다.

로잔 운동의 미래 전망

  • 세계복음화의 열망: 한국교회는 세계복음화의 열망을 가지고 있다.
  • 차세대 리더십: 차세대 리더십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들의 영적 성숙도가 높아지고 있다.
  • 디지털 혁명 시대: 스마트 정보를 공유하고 선도하는 국가로 자리 잡고 있다.
  • 복음 전파의 지속성: 복음 전파의 지속성을 위해 기도하는 백성이 필요하다.

결론: 복음화의 지속적 필요성

  • 복음 전파의 중요성: 복음 전파는 교회의 생명력과 직결된다.
  • 기도의 힘: 기도하는 백성은 망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 교회의 회복: 부패한 교회를 회복하고 새로운 출발을 기약해야 한다.
  • 정의로운 사회: 정의롭고 평화로운 새사회를 이루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