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Side6 실전 프로그래밍

 

PySide6 실전 프로그래밍

생성일: 2025. 10. 18.



1. 시작하기 전에

시작하기 전에

1.1 PySide6 소개 및 환경 설정

PySide6는 Qt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Python 바인딩 라이브러리입니다. Qt는 크로스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강력한 C++ 프레임워크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개발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스템 프로그래밍 기능을 제공합니다. PySide6는 Qt의 모든 기능을 Python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래핑(wrapping)하여, Python 개발자들이 Qt의 강력한 기능을 활용하여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PySide6의 장점:

  • 크로스 플랫폼: Windows, macOS, Linux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동일한 코드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 풍부한 위젯: 다양한 UI 컴포넌트(위젯)를 제공하여 복잡하고 시각적으로 풍부한 인터페이스를 쉽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 시그널과 슬롯 메커니즘: 이벤트 기반 프로그래밍을 위한 강력한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UI 상호작용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MVC 패턴 지원: 모델-뷰-컨트롤러(MVC) 패턴을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코드의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상업적 사용 가능: PySide6는 LGPL 라이선스 하에 배포되어 상업적 프로젝트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ySide6 설치:


PySide6는 pip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 또는 명령 프롬프트에서 다음 명령을 실행하십시오.


pip install PySide6

설치가 완료되면 PySide6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간단한 예제 코드를 실행해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간단한 윈도우를 생성하는 예제입니다.


import sys

from PySide6.QtWidgets import QApplication, QWidget, QLabel


app = QApplication(sys.argv)

window = QWidget()

window.setWindowTitle("PySide6 Hello World")

label = QLabel("Hello, PySide6!")

label.move(100, 100)

window.setGeometry(100, 100, 300, 200# (x, y, width, height)

label.setParent(window)

window.show()

sys.exit(app.exec())

위 코드를 실행하여 윈도우가 정상적으로 표시된다면 PySide6 설치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것입니다.


개발 환경 설정:


PySide6를 사용하여 개발하기 위한 몇 가지 권장 사항이 있습니다.

  1.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선택: PyCharm, VS Code, Sublime Text 등 다양한 ID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IDE는 코드 자동 완성, 디버깅, 코드 검사 등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PyCharm의 경우, PySide6를 위한 코드 자동 완성 및 리팩토링 기능을 지원하는 플러그인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VS Code에서는 Python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PySide6 개발에 필요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가상 환경 사용: 프로젝트별로 가상 환경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상 환경은 프로젝트에 필요한 패키지들을 격리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venv 모듈을 사용하여 가상 환경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python -m venv .venv

가상 환경을 활성화합니다.

  • Windows: .venv\Scripts\activate

  • macOS/Linux: source .venv/bin/activate


가상 환경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pip install PySide6를 실행하여 PySide6를 설치하면, 해당 프로젝트에 필요한 패키지만 설치되어 관리됩니다.

  1. Qt Designer 활용: Qt Designer는 GUI 디자인을 위한 시각적인 도구입니다.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위젯을 배치하고, 레이아웃을 설정하며, 시그널과 슬롯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Qt Designer를 사용하여 UI를 디자인하고, 디자인 파일을 PySide6 코드에서 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Qt Designer는 Qt 설치 시 함께 설치되거나, 별도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Qt Designer 사용법은 2.3절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2. 스타일 시트 활용: QSS(Qt Style Sheets)를 사용하여 UI의 스타일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QSS는 CSS와 유사한 문법을 사용하여 위젯의 모양, 색상, 폰트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QSS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을 쉽게 변경하고, 일관된 스타일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1.2 이 책의 목표와 학습 방향

이 책의 목표는 PySide6를 사용하여 실용적인 GUI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모든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PySide6의 기본 문법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프로젝트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얻은 노하우와 팁을 공유하여 독자들이 PySide6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책의 주요 학습 방향:

  1. 기초 다지기: PySide6의 핵심 개념인 위젯, 레이아웃, 시그널과 슬롯, 이벤트 처리, 기본적인 GUI 디자인 기법을 자세히 다룹니다. 각 개념에 대한 예제를 통해 이해를 돕고, 실전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2. 실전 예제: 간단한 계산기, 파일 관리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연동 애플리케이션 등 실제 프로젝트를 통해 PySide6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각 예제는 단계별로 진행되며, 코드 설명과 함께 문제 해결, 성능 개선, 사용자 경험 향상에 대한 팁을 제공합니다.

  3. 고급 기능: 멀티스레딩을 이용한 UI 응답성 향상, 사용자 정의 위젯, 스타일링, 배포 등 고급 기능을 다룹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이 더욱 복잡하고 전문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4. 실용적인 조언: 코드 스타일, 디버깅, 성능 최적화, UI/UX 디자인 등 실제 개발 과정에서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합니다. 또한, 코드 재사용, 유지보수, 확장성에 대한 팁도 공유합니다.


학습 방법:

  1. 이론 학습과 실습 병행: 각 챕터의 내용을 읽고, 제공되는 예제를 직접 코딩하며 실습합니다. 이론만으로는 부족하며, 직접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해보면서 PySide6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합니다.

  2. 예제 코드 분석: 제공되는 예제 코드를 꼼꼼히 분석하고, 각 코드 라인의 의미를 파악합니다. 코드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수정해봅니다.

  3. 오류 해결 능력 향상: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다양한 오류에 직면하게 됩니다. 오류 메시지를 꼼꼼히 읽고, 구글링, 스택 오버플로우 등을 활용하여 오류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웁니다.

  4. 자신만의 프로젝트 개발: 책에서 제공하는 예제를 기반으로, 자신만의 프로젝트를 개발해봅니다. 이를 통해 PySide6를 활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실질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5. 꾸준한 학습: PySide6는 방대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꾸준히 학습하고, 새로운 기능을 익히며, 지속적으로 실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1.3 필요한 사전 지식 및 준비물

PySide6를 학습하기 전에 몇 가지 사전 지식이 있으면 더욱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필수 사전 지식:

  1. Python 프로그래밍: Python의 기본적인 문법(변수, 자료형, 조건문, 반복문, 함수, 클래스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Python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없다면, Python 공식 튜토리얼 또는 온라인 강좌를 통해 Python을 먼저 학습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2.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OOP): PySide6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설계되었습니다. 클래스, 객체, 상속, 다형성 등 OOP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있으면 PySide6 코드를 이해하고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GUI 프로그래밍 기본 개념: GUI 프로그래밍의 기본적인 개념(위젯, 이벤트, 시그널, 슬롯 등)을 이해하고 있으면 PySide6를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GUI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더라도, 이 책을 통해 PySide6를 배우면서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습니다.


준비물:

  1. 컴퓨터: Windows, macOS, Linux 운영체제 중 하나를 사용하는 컴퓨터가 필요합니다.

  2. Python 설치: Python 3.7 이상 버전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Python 공식 웹사이트에서 최신 버전의 Python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2. PySide6 기초 다지기

2장: PySide6 기초 다지기

이 챕터에서는 PySide6를 활용한 GUI 프로그래밍의 핵심적인 개념들을 다룹니다. 위젯, 레이아웃, 시그널과 슬롯, 이벤트 처리 등 GUI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들을 자세히 살펴보고, 실제 코드를 통해 이해를 돕습니다. 또한, 기본적인 GUI 디자인 기법을 익혀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방법을 배우고, 실전 예제를 위한 탄탄한 기반을 다질 것입니다.

2.1 위젯, 레이아웃, 시그널과 슬롯

PySide6에서 GUI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위젯(Widget)입니다. 위젯은 버튼, 텍스트 입력 필드, 레이블, 체크박스 등 화면에 표시되는 개별적인 UI 요소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위젯들을 효과적으로 배치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레이아웃(Layout)의 개념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위젯 간의 상호작용과 이벤트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시그널(Signal)과 슬롯(Slot) 메커니즘을 통해 GUI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동작을 구현합니다.

2.1.1 위젯의 이해

PySide6는 다양한 종류의 위젯을 제공하며, 각 위젯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터랙션을 처리합니다. 주요 위젯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QWidget: 모든 위젯의 기본 클래스입니다.

  • QLabel: 텍스트나 이미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 QPushButton: 버튼을 나타냅니다. 사용자의 클릭 이벤트를 처리합니다.

  • QLineEdit: 한 줄의 텍스트를 입력받는 데 사용됩니다.

  • QTextEdit: 여러 줄의 텍스트를 입력받는 데 사용됩니다.

  • QCheckBox: 체크박스를 나타냅니다.

  • QRadioButton: 라디오 버튼을 나타냅니다.

  • QComboBox: 드롭다운 목록을 제공합니다.

  • QListWidget: 항목 목록을 표시합니다.

  • QTableWidget: 표 형태의 데이터를 표시합니다.


위젯을 생성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PySide6 모듈을 import하고, 해당 위젯 클래스를 인스턴스화해야 합니다.


import sys

from PySide6.QtWidgets import QApplication, QLabel, QPushButton, QVBoxLayout, QWidget


app = QApplication(sys.argv)


# QLabel 위젯 생성

label = QLabel("Hello, PySide6!")


# QPushButton 위젯 생성

button = QPushButton("Click Me")


# QVBoxLayout 생성 (위젯을 수직으로 배치)

layout = QVBoxLayout()

layout.addWidget(label)

layout.addWidget(button)


# QWidget 생성 및 레이아웃 설정

window = QWidget()

window.setLayout(layout)

window.setWindowTitle("Simple Window")


window.show()

sys.exit(app.exec())

위 코드에서는 QLabelQPushButton 위젯을 생성하고, QVBoxLayout을 사용하여 수직으로 배치했습니다. QWidget를 생성하고 레이아웃을 설정한 후, window.show()를 호출하여 화면에 표시합니다.

2.1.2 레이아웃의 활용

레이아웃은 위젯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ySide6는 다양한 레이아웃 클래스를 제공하며, 각 레이아웃은 위젯을 배치하는 방식을 정의합니다.

  • QVBoxLayout: 위젯을 수직으로 배치합니다.

  • QHBoxLayout: 위젯을 수평으로 배치합니다.

  • QGridLayout: 위젯을 격자 형태로 배치합니다.

  • QFormLayout: 레이블과 입력 필드를 짝지어 배치합니다.


레이아웃을 사용하면 창의 크기가 변경될 때 위젯들이 자동으로 크기를 조절하고 위치를 유지하므로, 반응형 GUI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import sys

from PySide6.QtWidgets import QApplication, QLabel, QLineEdit, QPushButton, QHBoxLayout, QVBoxLayout, QWidget


app = QApplication(sys.argv)


# 위젯 생성

label = QLabel("Name:")

name_input = QLineEdit()

button = QPushButton("Submit")


# QHBoxLayout 생성 (레이블과 입력 필드를 수평으로 배치)

hbox = QHBoxLayout()

hbox.addWidget(label)

hbox.addWidget(name_input)


# QVBoxLayout 생성 (수평 레이아웃과 버튼을 수직으로 배치)

vbox = QVBoxLayout()

vbox.addLayout(hbox)

vbox.addWidget(button)


# QWidget 생성 및 레이아웃 설정

window = QWidget()

window.setLayout(vbox)

window.setWindowTitle("Layout Example")


window.show()

sys.exit(app.exec())

위 예제에서는 QHBoxLayoutQVBoxLayout을 중첩하여 사용했습니다. 이름 레이블과 입력 필드를 수평으로 배치하고, 그 아래에 "Submit" 버튼을 수직으로 배치했습니다.

2.1.3 시그널과 슬롯의 이해

시그널과 슬롯은 PySide6의 핵심적인 이벤트 처리 메커니즘입니다. 시그널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예: 버튼 클릭, 텍스트 변경) 발생하는 신호이고, 슬롯은 시그널에 연결되어 시그널이 발생했을 때 실행되는 함수입니다.


import sys

from PySide6.QtWidgets import QApplication, QPushButton, QLabel, QVBoxLayout, QWidget


class MyWindow(QWidget):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

        self.setWindowTitle("Signal and Slot Example")


        self.label = QLabel("Button not clicked")

        self.button = QPushButton("Click Me")


        # 시그널 연결: 버튼 클릭 시 clicked 시그널을 self.on_button_clicked 슬롯에 연결

        self.button.clicked.connect(self.on_button_clicked)


        layout = QVBoxLayout()

        layout.addWidget(self.label)

        layout.addWidget(self.button)

        self.setLayout(layout)


    def on_button_clicked(self):

        # 슬롯: 버튼이 클릭되었을 때 실행되는 함수

        self.label.setText("Button clicked!")


app = QApplication(sys.argv)

window = MyWindow()

window.show()

sys.exit(app.exec())

위 코드에서 button.clicked.connect(self.on_button_clicked)는 버튼의 clicked 시그널을 self.on_button_clicked 슬롯에 연결합니다. 버튼이 클릭되면 on_button_clicked 함수가 호출되어 레이블의 텍스트가 변경됩니다.

2.2 이벤트 처리 및 사용자 인터랙션

GUI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다양한 인터랙션에 반응해야 합니다. PySide6는 키보드 입력, 마우스 클릭, 드래그 앤 드롭 등 다양한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2.2.1 이벤트 종류와 처리 방법

PySide6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이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마우스 이벤트: mousePressEvent, mouseReleaseEvent, mouseMoveEvent, mouseDoubleClickEvent

  • 키보드 이벤트: keyPressEvent, keyReleaseEvent

  • 포커스 이벤트: focusInEvent, focusOutEvent

  • 창 이벤트: closeEvent, resizeEvent, moveEvent


이벤트는 위젯의 특정 메서드를 재정의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마우스 클릭 이벤트를 처리하려면 mousePressEvent 메서드를 재정의합니다.


import sys

from PySide6.QtWidgets import QApplication, QWidget, QLabel, QVBoxLayout

from PySide6.QtGui import QMouseEvent


class MyWidget(QWidget):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

        self.label = QLabel("Click Me")

        self.layout = QVBoxLayout(self)

        self.layout.addWidget(self.label)


    def mousePressEvent(self, event: QMouseEvent):

        if event.button() == 1# 1: Left button

            self.label.setText("Left Click!")

        elif event.button() == 2# 2: Right button

            self.label.setText("Right Click!")

        else:

            self.label.setText("Other Click")


app = QApplication(sys.argv)

widget = MyWidget()

widget.setWindowTitle("Mouse Event Example")

widget.show()

sys.exit(app.exec())

위 코드에서는 mousePressEvent 메서드를 재정의하여 마우스 클릭 이벤트를 처리합니다. 클릭된 마우스 버튼에 따라 레이블의 텍스트가 변경됩니다. event.button()을 사용하여 클릭된 버튼을 식별합니다.

2.2.2 사용자 인터랙션 구현

PySide6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버튼 클릭 시 특정 동작을 수행



3. 실전 예제: 간단한 계산기 만들기


# 3장: 실전 예제: 간단한 계산기 만들기


이전 챕터에서 PySide6 GUI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들을 익혔습니다. 이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이번 챕터에서는 간단한 계산기를 제작하며, 실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마주칠 수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방법을 배우겠습니다. 계산기 애플리케이션은 GUI 프로그래밍의 기본기를 다지기에 매우 적합한 예제이며, 다양한 위젯을 활용하고 시그널과 슬롯을 연결하여 사용자 인터랙션을 구현하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 3.1 계산기 UI 디자인


계산기 UI 디자인은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숫자 버튼, 연산자 버튼, 결과 표시창, 그리고 기본적인 레이아웃을 구성해야 합니다.  이 섹션에서는 PySide6를 사용하여 이러한 UI 요소들을 어떻게 배치하고 디자인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3.1.1 레이아웃 설계


계산기 UI는 일반적으로 격자 레이아웃(Grid Layout)을 사용하여 숫자 버튼과 연산자 버튼을 정렬합니다. 결과 표시창은 위쪽에 위치하고, 버튼들은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야 합니다.  Grid Layout은 행(row)과 열(column)을 사용하여 위젯을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먼저, `QtWidgets` 모듈에서 필요한 클래스들을 임포트합니다.  `QApplication`, `QWidget`, `QVBoxLayout`, `QHBoxLayout`, `QPushButton`, `QLineEdit`, `QGridLayout` 등이 필요합니다.


```python

from PySide6.QtWidgets import (

    QApplication,

    QWidget,

    QVBoxLayout,

    QHBoxLayout,

    QPushButton,

    QLineEdit,

    QGridLayout,

)


다음으로, 메인 윈도우를 생성하고, 레이아웃을 설정합니다. 계산기 UI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습니다.

  1. 메인 레이아웃 (QVBoxLayout): 전체 UI를 감싸는 레이아웃.

  2. 결과 표시창 (QLineEdit): 계산 결과를 표시하는 위젯.

  3. 버튼 레이아웃 (QGridLayout): 숫자 버튼과 연산자 버튼을 포함하는 레이아웃.


import sys  # sys 모듈 임포트


class Calculator(QWidget):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

        self.setWindowTitle("간단한 계산기")

        self.setGeometry(100, 100, 300, 400# 윈도우 크기 및 위치 설정


        # 메인 레이아웃 (수직 레이아웃)

        main_layout = QVBoxLayout()


        # 결과 표시창

        self.result_display = QLineEdit()

        self.result_display.setAlignment(

            QtCore.Qt.AlignRight

        )  # 텍스트를 오른쪽 정렬

        self.result_display.setReadOnly(True# 읽기 전용으로 설정

        main_layout.addWidget(self.result_display)


        # 버튼 레이아웃 (격자 레이아웃)

        button_layout = QGridLayout()


        # 버튼 생성 및 배치 (예시)

        self.create_buttons(button_layout)  # 버튼 생성 및 배치 함수 호출


        main_layout.addLayout(button_layout)

        self.setLayout(main_layout)


    def create_buttons(self, layout):

        # 숫자 버튼

        button_texts = [

            "7", "8", "9", "/",

            "4", "5", "6", "*",

            "1", "2", "3", "-",

            "0", ".", "=", "+"

        ]

        row, col = 1, 0

        for text in button_texts:

            button = QPushButton(text)

            layout.addWidget(button, row, col)

            col += 1

            if col > 3:

                col = 0

                row += 1


3.1.2 위젯 생성 및 배치

결과 표시창은 QLineEdit 위젯을 사용하여 생성합니다.  QLineEdit는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텍스트를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setReadOnly(True) 메서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없도록 설정합니다.


버튼은 QPushButton 위젯을 사용하여 생성합니다. 각 버튼에 텍스트를 설정하고, QGridLayout에 배치합니다.  버튼의 텍스트와 레이아웃 위치를 지정하는 코드를 추가합니다. create_buttons 함수를 사용하여 버튼을 생성하고 배치하는 로직을 분리하면 코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def create_buttons(self, layout):

        # 숫자 버튼

        button_texts = [

            "7", "8", "9", "/",

            "4", "5", "6", "*",

            "1", "2", "3", "-",

            "0", ".", "=", "+"

        ]

        row, col = 1, 0  # 1행 0열부터 시작

        for text in button_texts:

            button = QPushButton(text)

            button.clicked.connect(lambda checked, text=text: self.button_clicked(text))

            layout.addWidget(button, row, col)

            col += 1

            if col > 3:

                col = 0

                row += 1


3.1.3 스타일링 (선택 사항)

UI의 시각적인 요소를 개선하기 위해 스타일 시트(Style Shee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타일 시트를 사용하면 버튼의 배경색, 글꼴, 테두리 등을 변경하여 계산기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스타일 시트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self.setStyleSheet("""

            QPushButton {

                background-color: #f0f0f0;

                border: 1px solid #c0c0c0;

                border-radius: 5px;

                padding: 10px;

                font-size: 16px;

            }

            QPushButton:hover {

                background-color: #e0e0e0;

            }

            QLineEdit {

                background-color: white;

                border: 1px solid #c0c0c0;

                border-radius: 5px;

                padding: 10px;

                font-size: 18px;

            }

        """)

이 코드는 버튼과 결과 표시창의 배경색, 테두리, 글꼴 크기 등을 설정합니다. :hover 상태를 사용하여 마우스 커서가 버튼 위에 있을 때의 스타일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3.2 계산 기능 구현

UI 디자인이 완료되면, 이제 계산 기능을 구현할 차례입니다.  버튼 클릭 시그널을 처리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와 연산자를 사용하여 계산을 수행합니다.

3.2.1 시그널과 슬롯 연결

QPushButtonclicked 시그널은 버튼이 클릭될 때 발생합니다.  이 시그널을 슬롯 함수(예: button_clicked)에 연결하여 버튼 클릭 이벤트를 처리합니다.


import sys

from PySide6 import QtCore

from PySide6.QtWidgets import (

    QApplication,

    QWidget,

    QVBoxLayout,

    QHBoxLayout,

    QPushButton,

    QLineEdit,

    QGridLayout,

)


class Calculator(QWidget):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

        self.setWindowTitle("간단한 계산기")

        self.setGeometry(100, 100, 300, 400# 윈도우 크기 및 위치 설정


        # 메인 레이아웃 (수직 레이아웃)

        main_layout = QVBoxLayout()


        # 결과 표시창

        self.result_display = QLineEdit()

        self.result_display.setAlignment(

            QtCore.Qt.AlignRight

        )  # 텍스트를 오른쪽 정렬

        self.result_display.setReadOnly(True# 읽기 전용으로 설정

        main_layout.addWidget(self.result_display)


        # 버튼 레이아웃 (격자 레이아웃)

        button_layout = QGridLayout()


        # 버튼 생성 및 배치 (예시)

        self.create_buttons(button_layout)  # 버튼 생성 및 배치 함수 호출


        main_layout.addLayout(button_layout)

        self.setLayout(main_layout)


    def create_buttons(self, layout):

        # 숫자 버튼

        button_texts = [

            "7", "8", "9", "/",

            "4", "5", "6", "*",

            "1", "2", "3", "-",

            "0", ".", "=", "+"

        ]



---


# 4. 더욱 발전된 GUI: 파일 관리 프로그램


```markdown

# 4장: 더욱 발전된 GUI: 파일 관리 프로그램


## 4.1 파일 탐색 기능 구현


3장에서 우리는 PySide6를 사용하여 간단한 계산기를 만들며 GUI 프로그래밍의 기본기를 다졌습니다. 이제 한 단계 더 나아가, 실용적인 파일 관리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면서 더욱 복잡하고 흥미로운 GUI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도전해 봅시다. 이 챕터에서는 파일 탐색, 파일 열기 및 저장, 사용자 정의 설정 및 테마 적용 등 파일 관리 프로그램의 핵심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파일 관리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와 상호작용하며 파일을 탐색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파일 시스템과 관련된 다양한 클래스와 위젯을 활용해야 합니다. PySide6는 이러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 4.1.1 `QFileSystemModel`과 `QTreeView`를 이용한 파일 목록 표시


파일 관리 프로그램의 핵심 기능 중 하나는 파일 및 디렉터리 목록을 표시하는 것입니다. PySide6에서는 `QFileSystemModel`과 `QTreeView` 위젯을 사용하여 이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QFileSystemModel`은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모델 형태로 제공합니다. 즉, 파일과 디렉터리의 이름, 크기, 수정 날짜, 아이콘 등과 같은 속성을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QTreeView`는 이 모델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음은 `QFileSystemModel`과 `QTreeView`를 사용하여 파일 목록을 표시하는 기본적인 예제 코드입니다.


```python

import sys

import os

from PySide6.QtWidgets import (QApplication, QWidget, QVBoxLayout, QTreeView,

                               QLineEdit, QHBoxLayout)

from PySide6.QtCore import QDir


class FileExplorer(QWidget):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

        self.setWindowTitle("파일 관리 프로그램")

        self.setGeometry(100, 100, 800, 600)


        # 레이아웃 설정

        main_layout = QVBoxLayout()


        # 현재 디렉터리 표시 및 이동을 위한 QLineEdit

        self.path_edit = QLineEdit()

        self.path_edit.returnPressed.connect(self.go_to_path) # Enter 키 입력 시 이동

        main_layout.addWidget(self.path_edit)


        # 파일 목록을 표시할 QTreeView

        self.tree_view = QTreeView()

        self.file_model = QFileSystemModel()

        self.file_model.setRootPath(QDir.rootPath()) # 루트 디렉터리 설정

        self.tree_view.setModel(self.file_model)

        self.tree_view.setRootIndex(self.file_model.index(QDir.homePath())) # 홈 디렉터리 표시

        self.tree_view.doubleClicked.connect(self.open_file_or_directory) # 더블 클릭 이벤트 처리


        main_layout.addWidget(self.tree_view)

        self.setLayout(main_layout)


        # 초기 경로 설정

        self.path_edit.setText(QDir.homePath())


    def go_to_path(self):

        """QLineEdit에 입력된 경로로 이동합니다."""

        path = self.path_edit.text()

        if os.path.exists(path):

            self.tree_view.setRootIndex(self.file_model.index(path))

        else:

            print("유효하지 않은 경로입니다.")


    def open_file_or_directory(self, index):

        """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더블 클릭했을 때의 동작을 정의합니다."""

        file_path = self.file_model.filePath(index)

        if os.path.isfile(file_path):

            # 파일 열기 (예시: 텍스트 에디터로 열기)

            try:

                os.system(f"notepad.exe \"{file_path}\"") # Windows

                # os.system(f"gedit \"{file_path}\"") # Linux (gedit 설치 필요)

            except:

                print("파일을 열 수 없습니다.")

        elif os.path.isdir(file_path):

            # 디렉터리 이동

            self.tree_view.setRootIndex(index)

            self.path_edit.setText(file_path)


if __name__ == "__main__":

    app = QApplication(sys.argv)

    explorer = FileExplorer()

    explorer.show()

    sys.exit(app.exec())

위 코드에서 QFileSystemModel을 생성하고, setRootPath() 메서드를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의 루트 디렉터리를 설정합니다. QTreeView는 이 모델을 사용하여 파일 및 디렉터리 목록을 표시합니다. setRootIndex() 메서드는 표시할 초기 디렉터리를 설정합니다.  doubleClicked 시그널을 슬롯 함수 open_file_or_directory에 연결하여 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더블 클릭했을 때의 동작을 정의합니다. go_to_path 함수는 QLineEdit에 입력된 경로로 이동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실용적인 조언:

  • 성능 최적화: 대용량 디렉터리를 처리할 때는 QFileSystemModel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QDir 클래스를 사용하여 파일 목록을 직접 읽어오거나, QAbstractItemModel을 상속받아 사용자 정의 모델을 구현하여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아이콘 표시: QTreeView는 파일 및 디렉터리의 아이콘을 자동으로 표시합니다. QFileSystemModel을 사용하면 아이콘을 별도로 설정할 필요 없이 OS에서 제공하는 아이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상세 정보 표시: QTreeView의 열을 사용하여 파일 크기, 수정 날짜 등과 같은 추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QFileSystemModel은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며, QTreeViewsetColumnHidden() 메서드를 사용하여 열을 숨기거나 표시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경로 설정: setRootPath()는 루트 경로를 설정하고, setRootIndex()는 초기 표시 경로를 설정합니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홈 디렉터리, 최근 사용한 디렉터리, 즐겨찾기 등 다양한 경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4.1.2 경로 입력 및 이동 기능 구현

사용자가 원하는 경로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입력하고 이동하는 기능을 추가해야 합니다. 위 예제 코드에서 QLineEditgo_to_path() 메서드를 사용하여 이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QLineEdit 위젯은 텍스트를 입력받는 데 사용됩니다. 사용자가 경로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르면, returnPressed 시그널이 발생하고, 이에 연결된 go_to_path() 슬롯 함수가 실행됩니다. go_to_path() 함수는 입력된 경로가 유효한지 확인하고, QTreeView의 루트 디렉터리를 변경하여 해당 경로를 표시합니다.


실용적인 조언:

  • 자동 완성 기능:  QLineEdit에 자동 완성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경로를 입력하는 과정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QCompleter 클래스를 사용하여 파일 및 디렉터리 이름을 자동 완성할 수 있습니다.

  • 경로 유효성 검사:  입력된 경로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해야 합니다. os.path.exists() 함수를 사용하여 경로의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 히스토리 기능:  이전에 방문했던 경로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쉽게 이전 경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히스토리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QList 또는 QStack과 같은 자료 구조를 사용하여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 파일 탐색 버튼:  "뒤로", "앞으로" 버튼을 추가하여 히스토리 기능을 시각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경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4.1.3 파일 및 디렉터리 더블 클릭 처리

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더블 클릭했을 때의 동작을 정의해야 합니다. 위 예제 코드의 open_file_or_directory() 메서드가 이 역할을 수행합니다.


QTreeViewdoubleClicked 시그널은 항목을 더블 클릭했을 때 발생합니다. 이 시그널에 연결된 슬롯 함수는 클릭된 항목의 인덱스를 인자로 받습니다.  QFileSystemModelfilePath() 메서드를 사용하여 해당 인덱스에 해당하는 파일의 경로를 얻을 수 있습니다.


파일인 경우, 해당 파일을 열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에디터로 열거나, 이미지 파일을 이미지 뷰어로 열 수 있습니다.  os.system() 함수를 사용하여 운영체제의 기본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디렉터리인 경우, 해당 디렉터리로 이동합니다. setRootIndex() 메서드를 사용하여 `QTreeView



5. 데이터베이스 연동

5장: 데이터베이스 연동

데이터베이스는 현대적인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PySide6를 이용하면 SQLite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연동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4장에서 파일 관리 프로그램을 만들면서 기본적인 UI 구성과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면, 이번 장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이 장에서는 SQLite 데이터베이스를 소개하고, PySide6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고 쿼리를 실행하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더 나아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는 실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과정을 통해 실전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5.1 SQLite 데이터베이스 소개

SQLite는 가볍고, 독립적이며, 설정이 필요 없는 임베디드 SQL 데이터베이스 엔진입니다. 별도의 서버 프로세스 없이 파일 기반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소규모 프로젝트나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에 매우 적합합니다. SQLite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설치 및 설정의 용이성: 별도의 설치 과정 없이 파이썬 내장 모듈인 sqlite3를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파일 기반 저장: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에 저장하므로,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설치하고 관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 SQL 표준 지원: SQL 언어를 지원하므로, 데이터베이스 쿼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

  • 가볍고 빠른 성능: 소규모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하며,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플랫폼 지원: Windows, macOS, Linux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QLite는 간단한 애플리케이션부터 복잡한 프로젝트까지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락처 관리, 할 일 목록, 메모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 유용합니다. 또한, 웹 애플리케이션의 백엔드 데이터베이스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도 널리 사용됩니다.


SQLite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로 구성되며, 각 테이블은 열(column)과 행(row)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열은 데이터의 속성을 나타내고, 행은 개별 데이터를 나타냅니다.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SQL 구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CREATE TABLE: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 INSERT INTO: 테이블에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합니다.

  • SELECT: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조회합니다.

  • UPDATE: 테이블의 데이터를 수정합니다.

  • DELETE FROM: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예를 들어, "users"라는 이름의 테이블을 생성하고, "id", "name", "email" 열을 가진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SQL 구문을 사용하여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CREATE TABLE users (

    id INTEGER PRIMARY KEY,

    name TEXT,

    email TEXT

);

이 구문은 "users" 테이블을 생성하며, "id" 열은 정수형, "name" 열과 "email" 열은 텍스트형으로 정의됩니다. "id" 열은 PRIMARY KEY로 지정되어, 각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INSERT INTO 구문을 사용합니다.


INSERT INTO users (name, email) VALUES ('John Doe', 'john.doe@example.com');

이 구문은 "users" 테이블에 새로운 행을 삽입하며, "name" 열에는 'John Doe'가, "email" 열에는 'john.doe@example.com'이 저장됩니다.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서는 SELECT 구문을 사용합니다.


SELECT * FROM users;

이 구문은 "users"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조회합니다. *는 모든 열을 의미합니다. 특정 열만 조회하려면 열 이름을 명시하면 됩니다.


SELECT name, email FROM users;

이 구문은 "users" 테이블에서 "name" 열과 "email" 열만 조회합니다.


SQLite 데이터베이스는 이러한 SQL 구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5.2 PySide6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연결 및 쿼리

이제 PySide6를 사용하여 SQLite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고, 쿼리를 실행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파이썬에서는 sqlite3 모듈을 사용하여 SQLite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PySide6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따릅니다.

  1. sqlite3 모듈 import: sqlite3 모듈을 import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련 기능을 사용합니다.

  2. 데이터베이스 연결: sqlite3.connect()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연결합니다. 데이터베이스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운 파일이 생성됩니다.

  3. 커서 생성: connection.cursor() 메서드를 사용하여 커서 객체를 생성합니다. 커서는 SQL 쿼리를 실행하고 결과를 가져오는 데 사용됩니다.

  4. SQL 쿼리 실행: cursor.execute() 메서드를 사용하여 SQL 쿼리를 실행합니다.

  5. 결과 처리: cursor.fetchall(), cursor.fetchone(), cursor.fetchmany() 메서드를 사용하여 쿼리 결과를 가져옵니다.

  6. 변경 사항 커밋 (선택 사항): connection.commit() 메서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변경 사항을 저장합니다.

  7. 연결 종료: connection.close() 메서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종료합니다.


다음은 간단한 예제 코드입니다.


import sys

import sqlite3

from PySide6.QtWidgets import QApplication, QWidget, QVBoxLayout, QLabel, QPushButton, QLineEdit, QMessageBox


class DatabaseApp(QWidget):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

        self.setWindowTitle("PySide6 SQLite 예제")

        self.setGeometry(100, 100, 400, 200)


        self.db_path = "mydatabase.db"  # 데이터베이스 파일 경로


        self.init_ui()


    def init_ui(self):

        layout = QVBoxLayout()


        self.name_label = QLabel("이름:")

        self.name_input = QLineEdit()

        layout.addWidget(self.name_label)

        layout.addWidget(self.name_input)


        self.email_label = QLabel("이메일:")

        self.email_input = QLineEdit()

        layout.addWidget(self.email_label)

        layout.addWidget(self.email_input)


        self.add_button = QPushButton("데이터 추가")

        self.add_button.clicked.connect(self.add_data)

        layout.addWidget(self.add_button)


        self.view_button = QPushButton("데이터 보기")

        self.view_button.clicked.connect(self.view_data)

        layout.addWidget(self.view_button)


        self.setLayout(layout)


    def connect_db(self):

        try:

            self.conn = sqlite3.connect(self.db_path)

            self.cursor = self.conn.cursor()

            return True

        except sqlite3.Error as e:

            QMessageBox.critical(self, "오류", f"데이터베이스 연결 실패: {e}")

            return False


    def close_db(self):

        if hasattr(self, 'conn'):

            self.conn.close()


    def create_table(self):

        if not self.connect_db():

            return

        try:

            self.cursor.execute("""

                CREATE TABLE IF NOT EXISTS users (

                    id INTEGER PRIMARY KEY AUTOINCREMENT,

                    name TEXT,

                    email TEXT

                )

            """)

            self.conn.commit()

            return True

        except sqlite3.Error as e:

            QMessageBox.critical(self, "오류", f"테이블 생성 실패: {e}")

            return False

        finally:

            self.close_db()


    def add_data(self):

        name = self.name_input.text()

        email = self.email_input.text()


        if not name or not email:

            QMessageBox.warning(self, "경고", "이름과 이메일을 모두 입력해주세요.")

            return


        if not self.connect_db():

            return


        if not self.create_table():

            return


        try:

            self.cursor.execute("INSERT INTO users (name, email) VALUES (?, ?)", (name, email))

            self.conn.commit()

            QMessageBox.information(self, "성공", "데이터가 추가되었습니다.")

            self.name_input.clear()

            self.email_input.clear()

        except sqlite3.Error as e:

            QMessageBox.critical(self, "오류", f"데이터 추가 실패: {e}")

        finally:

            self.close_db()


    def view_


---


# 6. 고급 기능 및 활용


## 6. 고급 기능 및 활용


이 챕터에서는 PySide6를 이용한 GUI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깊이를 더하는 고급 기능들을 살펴봅니다. 앞선 챕터들을 통해 기본적인 GUI 구성, 이벤트 처리, 데이터베이스 연동까지 익혔다면, 이제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필요한 기술들을 습득할 차례입니다. 멀티스레딩을 통해 UI의 응답성을 개선하고, 사용자 정의 위젯과 스타일링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외관과 기능을 자유자재로 제어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마지막으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팁들을 제공합니다.


### 6.1 멀티스레딩을 이용한 UI 응답성 향상


GUI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하거나 특정 작업을 요청했을 때, 해당 작업이 오래 걸리면 UI가 멈추는 현상을 경험한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UI 스레드(메인 스레드)가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 다른 사용자 인터랙션을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멀티스레딩 기술을 활용하여 UI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6.1.1 스레드와 UI 스레드


**스레드(Thread)**는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독립적인 실행 흐름입니다. 여러 개의 스레드를 사용하면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GUI 애플리케이션에서는 UI 스레드와 작업 스레드를 분리하여 UI 스레드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처리하고, 작업 스레드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합니다.


**UI 스레드(UI Thread)**는 GUI 애플리케이션의 UI를 관리하고 사용자 이벤트를 처리하는 스레드입니다. UI 스레드는 UI 업데이트, 이벤트 처리, 사용자 입력 감지 등 UI와 관련된 모든 작업을 담당합니다. UI 스레드가 블로킹되면 애플리케이션이 응답하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 6.1.2 `QThread`를 이용한 멀티스레딩


PySide6에서는 `QThread` 클래스를 사용하여 스레드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QThread`를 상속받아 새로운 스레드 클래스를 정의하고, `run()` 메서드 안에 수행할 작업을 구현합니다.


```python

import sys

from PySide6.QtWidgets import QApplication, QWidget, QPushButton, QVBoxLayout, QLabel

from PySide6.QtCore import QThread, Signal, QObject, Slot

import time


class Worker(QThread):

    finished = Signal()

    progress = Signal(int)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

        self.running = True


    def run(self):

        for i in range(101):

            if not self.running:

                break

            time.sleep(0.05# Simulate a long-running task

            self.progress.emit(i)

        self.finished.emit()


    def stop(self):

        self.running = False

위 코드에서는 Worker 클래스를 정의하고, QThread를 상속받았습니다. finished 시그널과 progress 시그널을 정의하여 작업의 완료와 진행 상황을 UI 스레드로 전달합니다. run() 메서드에서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을 시뮬레이션하고, progress 시그널을 통해 진행 상황을 UI 스레드로 전달합니다. stop() 메서드는 스레드를 중지하기 위한 메서드입니다.

6.1.3 UI 업데이트

UI 스레드에서 QThread의 시그널을 처리하여 UI를 업데이트합니다.


class MainWindow(QWidget):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

        self.setWindowTitle("멀티스레딩 예제")

        self.layout = QVBoxLayout(self)


        self.label = QLabel("작업 진행 상황: 0%")

        self.button = QPushButton("작업 시작")

        self.layout.addWidget(self.label)

        self.layout.addWidget(self.button)


        self.worker_thread = None

        self.button.clicked.connect(self.start_worker)


    @Slot()

    def start_worker(self):

        if self.worker_thread is not None and self.worker_thread.isRunning():

            self.worker_thread.stop()

            self.worker_thread.wait() #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림

            self.button.setText("작업 시작")

            return


        self.worker_thread = Worker()

        self.worker_thread.progress.connect(self.update_progress)

        self.worker_thread.finished.connect(self.on_finished)

        self.worker_thread.start()

        self.button.setText("작업 중지")


    @Slot(int)

    def update_progress(self, value):

        self.label.setText(f"작업 진행 상황: {value}%")


    @Slot()

    def on_finished(self):

        self.label.setText("작업 완료!")

        self.button.setText("작업 시작")

        self.worker_thread = None


if __name__ == '__main__':

    app = QApplication(sys.argv)

    window = MainWindow()

    window.show()

    sys.exit(app.exec())

위 코드에서는 MainWindow 클래스를 정의하고, start_worker() 메서드에서 Worker 스레드를 시작합니다. update_progress() 슬롯은 progress 시그널을 받아 UI의 진행 상황을 업데이트하고, on_finished() 슬롯은 finished 시그널을 받아 작업 완료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버튼을 클릭하면 Worker 스레드가 시작되고, 작업이 완료되면 UI가 업데이트됩니다. 버튼을 다시 클릭하면 작업이 중지됩니다.

6.1.4 QRunnableQThreadPool

QThread 외에도, PySide6는 QRunnableQThreadPool을 사용하여 스레드를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QRunnable은 실행 가능한 작업을 정의하는 추상 클래스이고, QThreadPool은 스레드 풀을 관리하여 스레드 생성 및 소멸에 대한 오버헤드를 줄여줍니다.


import sys

from PySide6.QtWidgets import QApplication, QWidget, QPushButton, QVBoxLayout, QLabel

from PySide6.QtCore import QRunnable, QThreadPool, Signal, Slot, QObject

import time


class WorkerSignals(QObject):

    finished = Signal()

    progress = Signal(int)


class Worker(QRunnable):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

        self.signals = WorkerSignals()

        self.running = True


    def run(self):

        for i in range(101):

            if not self.running:

                break

            time.sleep(0.05)

            self.signals.progress.emit(i)

        self.signals.finished.emit()


    def stop(self):

        self.running = False


class MainWindow(QWidget):

    def __init__(self):

        super().__init__()

        self.setWindowTitle("QThreadPool 예제")

        self.layout = QVBoxLayout(self)


        self.label = QLabel("작업 진행 상황: 0%")

        self.button = QPushButton("작업 시작")

        self.layout.addWidget(self.label)

        self.layout.addWidget(self.button)


        self.threadpool = QThreadPool()

        self.worker = None

        self.button.clicked.connect(self.start_worker)


    @Slot()

    def start_worker(self):

        if self.worker is not None and self.worker.running:

            self.worker.stop()

            self.button.setText("작업 시작")

            return


        self.worker = Worker()

        self.worker.signals.progress.connect(self.update_progress)

        self.worker.signals.finished.connect(self.on_finished)

        self.threadpool.start(self.worker)

        self.button.setText("작업 중지")


    @Slot(int)

    def update_progress(self, value):

        self.label.setText(f"작업 진행 상황: {value}%")


    @Slot()

    def on_finished(self):

        self.label.setText("작업 완료!")

        self.button.setText("작업 시작")

        self.worker = None


if __name__ == '__main__':

    app = QApplication(sys.argv)

    window = MainWindow()

    window.show()

    sys.exit(app.exec())

이 예제에서는 Worker 클래스가 QRunnable을 상속받아 정의되었고, QThreadPool을 사용하여 스레드를 관리합니다. start_worker() 메서드에서 QThreadPool.start()를 호출하여 작업을 실행합니다. `



7. 마무리

```markdown

7. 마무리

7.1 PySide6 학습 여정 되돌아보기

드디어 PySide6 실전 프로그래밍 책의 마지막 챕터에 도달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여러분은 PySide6를 이용한 GUI 프로그래밍의 기초부터 실전적인 고급 기술까지, 폭넓은 지식을 습득하셨으리라 믿습니다. 이 챕터에서는 지금까지의 학습 여정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학습 방향을 제시하며, PySide6를 활용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우리는 이 책을 시작하며 PySide6가 무엇인지, 왜 GUI 프로그래밍에 유용한 도구인지 살펴보았습니다. 환경 설정을 마치고, 기본적인 위젯, 레이아웃, 시그널/슬롯과 같은 핵심 개념들을 익혔습니다. 간단한 계산기부터 파일 관리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연동까지, 다양한 실전 예제를 통해 PySide6의 강력한 기능을 직접 경험했습니다. 또한, 멀티스레딩, 사용자 정의 위젯, 스타일링과 같은 고급 기술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방법도 배웠습니다.


핵심 개념 복습:

  • 위젯: GUI 애플리케이션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 (버튼, 텍스트 상자, 레이블 등)

  • 레이아웃: 위젯을 화면에 배치하고 정렬하는 방법 (QVBoxLayout, QHBoxLayout, QGridLayout 등)

  • 시그널/슬롯: 위젯 간의 통신 메커니즘, 이벤트 처리 및 사용자 인터랙션 구현에 필수적

  • 이벤트 처리: 사용자 입력, 시스템 이벤트 등에 반응하는 방법

  • 데이터베이스 연동: SQLite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법

  • 멀티스레딩: UI 응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작업 스레드를 사용하는 방법

  • 사용자 정의 위젯: 기존 위젯을 확장하거나 새로운 위젯을 만들어 UI를 더욱 유연하게 만드는 방법

  • 스타일링: CSS 스타일 시트를 사용하여 UI의 모양을 변경하는 방법


실전 예제 되돌아보기:

  • 계산기: 기본적인 UI 디자인, 계산 기능 구현, 오류 처리

  • 파일 관리 프로그램: 파일 탐색, 파일 열기/저장, 사용자 정의 설정

  • 데이터베이스 기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연결, 쿼리, 데이터 표시 및 관리


이러한 내용들을 통해 여러분은 PySide6를 활용하여 다양한 GUI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다졌습니다. 이제,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구현할 차례입니다.

7.2 추가 학습 및 프로젝트 아이디어

PySide6 학습은 이 책을 통해 끝나는 것이 아니라, 여러분의 지속적인 노력과 탐구를 통해 더욱 발전해 나갈 수 있습니다. 다음은 PySide6 실력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추가 학습 방법과 프로젝트 아이디어를 제시합니다.


추가 학습 방법:

  1. 공식 문서 활용: PySide6 공식 문서는 훌륭한 참고 자료입니다. API 레퍼런스를 통해 각 클래스, 메서드, 시그널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을 때마다 공식 문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https://doc.qt.io/qtforpython-6/

  2. 온라인 강좌 및 튜토리얼: 유튜브, Udemy, Coursera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PySide6 관련 강좌 및 튜토리얼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을 배우거나, 특정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오픈 소스 프로젝트 참여: GitHub, GitLab 등에서 PySide6를 사용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찾아 코드를 분석하고, 기여해 보세요. 다른 개발자들의 코드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고, 실력 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4. PySide6 커뮤니티 참여: Stack Overflow, Reddit, Discord 등 PySide6 관련 커뮤니티에 참여하여 질문하고, 다른 개발자들과 정보를 공유하세요. 문제 해결에 도움을 얻고, 새로운 기술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5. 실전 프로젝트 진행: 가장 효과적인 학습 방법은 직접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입니다. 작은 프로젝트부터 시작하여 점차 난이도를 높여가며 실력을 향상시키세요.


프로젝트 아이디어:

  • TODO List 애플리케이션: 할 일 목록을 관리하고, 마감일을 설정하며,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이미지 뷰어: 이미지 파일을 열고, 확대/축소하고, 슬라이드 쇼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이미지 처리 라이브러리(PIL, OpenCV 등)를 함께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간단한 텍스트 에디터: 텍스트 파일을 열고, 편집하고, 저장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텍스트 서식, 맞춤법 검사, 코드 하이라이팅 등 고급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음악 플레이어: 음악 파일을 재생하고, 재생 목록을 관리하며, EQ 설정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 날씨 앱: 지역별 날씨 정보를 표시하고, 일기 예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날씨 API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파일 압축/압축 해제 유틸리티: zip, tar 등 다양한 형식의 파일을 압축하거나 압축 해제할 수 있는 유틸리티입니다.

  • 데이터 분석 도구: CSV, Excel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불러와 시각화하고, 간단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 GUI 기반 웹 브라우저: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즐겨찾기를 관리하며, 브라우징 기록을 저장하는 기능을 갖춘 웹 브라우저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Qt WebEngine을 활용하면 웹 브라우저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 맞춤형 시스템 모니터: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디스크 사용량 등 시스템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 소셜 미디어 클라이언트: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연결하여 게시물을 읽고, 작성하며, 알림을 받을 수 있는 클라이언트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진행 팁:

  • 작은 규모로 시작: 처음부터 너무 복잡한 프로젝트를 선택하지 말고, 간단한 기능을 구현하는 작은 프로젝트부터 시작하세요.

  • 단계별로 개발: 기능을 하나씩 추가하고, 테스트하며 개발해 나가세요.

  • 코드 관리: Git과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코드를 관리하고, 변경 사항을 추적하세요.

  • 문서화: 코드에 주석을 달고, 프로젝트에 대한 문서를 작성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세요.

  • 끊임없이 배우고 개선: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코드를 리팩토링하여 더 나은 코드를 작성하세요.

7.3 참고 자료 및 도구

PySide6를 활용한 GUI 프로그래밍을 더욱 깊이 있게 학습하고,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유용한 참고 자료 및 도구들을 소개합니다.


참고 자료:

  • PySide6 공식 문서: (위에서 언급) PySide6의 모든 기능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Qt Documentation: PySide6는 Qt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Qt Documentation도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C++ 기반이지만, PySide6와 유사한 개념을 다룹니다.)

    https://doc.qt.io/qt-6/

  • PyQt Documentation: PySide6와 PyQt는 Qt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파이썬 바인딩입니다. PyQt 문서를 통해 PySide6의 동작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 차이로 인해 PySide6와 PyQt의 사용법이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https://www.riverbankcomputing.com/static/Docs/PyQt6/

  • 파이썬 관련 서적 및 온라인 강좌: 파이썬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부족하다면, 파이썬 관련 서적이나 온라인 강좌를 통해 파이썬 기초를 다지는 것이 좋습니다.


유용한 도구:

  • Qt Designer: Qt Designer는 Qt 프레임워크를 위한 GUI 디자인 도구입니다.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UI를 디자인하고, 디자인된 UI를 PySide6 코드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UI 디자인 시간을 절약하고,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pip install pyside6-tools

  • ```bash




댓글